(1) 교육의 목적과 사회문제
글을 시작하기 전에, 이 글에서 설명하는 ‘교육의 목적’은 교육이념과 교육목적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써 사용되었다. 또한 기존의 교육학자들이 주장한 ‘개인적 목적-사회적 목적’과 ‘일반목적-구체적 목적’, ‘내재적-외재적 목적’ 중 첫 번째의 구분을 중심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 개념이 적절히 포함되게 서술하였다. 나는 전문가가 아니기에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다.
교육은 집단사회 발전의 한 부문으로서 그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고, 사회의 제반 부문들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진다. 또한 개인의 인격 형성과 사고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 체제나 국가의 차원을 넘어서 인간 공동체가 지향하고 있는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에 있어 교육은 지대한 역할을 하며, 주변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 관련하에서 이루어진다. 그렇기에 교육정책의 결정과정은 하나의 이론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 하에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크게 보자면 국가와 사회 발전 단계에 있어 교육은 정치·경제·사회·문화에서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근·현대에 문명과 사회적 연합체의 개념이 크게 작용함에 따라 전 정부적인 형식적 교육(학교교육) 이 가장 기본적 교육체제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일정한 발달 수준에 있는 학생들에게 일련의 교육내용을 계획적이며 조직적으로 교육하고 있다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또한 가정교육(비형식적 교육)과 학교교육(형식적 교육)의 체제적 근원은 다르지만, 학교의 의도적 학습이 학교 밖 일상생활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비형식적인 배경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는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국가는 전폭적 투자를 통해 사회적 안정을 이루려 하며 초등교육의 보편적 이수를 사회적 과제로 삼고, 교육기관에서 배출된 인력을 자본개발에 투입하며 지속적 경제발전을 꾀했다. 또한 교육기관을 통해 한 사회가 만들어온 가치관을 발전적으로 인지시키며 국민성 형성과 국가통합에도 기여하였다. 이에 교육은 거시적으로 미래 시민 양성과 정치체제 구체화라는 정치적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기능들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발달과 근대적 통일국가의 형성에 따라 같이 등장하고 발전해왔다.
개인에 초점을 맞춘다면 교육은 기초와 전문을 총망라한 생활방식을 이해하고 사회구성원에게 필요한 생활능력을 학습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집단을 통한 심리적인 성장을 주도한다. 교육을 통해 학습되거나 교정된 가치는 개인의 인격과 소질 계발을 통해 역량을 증대시킨다. 사회에서 교육을 통한 인격도야나 인성교육을 목표로 하는 이유는 전자에서 언급한 이해와 학습을 바탕으로 개인의 사고를 계발하여 근본적으로 삶과 존재의 의미를 이해하게끔 하기 위해서라 할 수 있다.
위에서의 두 관점을 적절히 종합한다면 교육은 대표적인 사회화 과정으로서 개인적 인격 계발과 사회적 수요 충족을 동시에 수행하는 ‘수단’인 동시에 사상과 지성의 전달을 통해 사회를 유지시키려는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민주주의 체제에서 교육은 근본적으로 개인에 대한 존중과 공공이익을 위한 통치를 지향하며 교육정책의 방향성 역시 이와 같다. 최근 들어 대한민국 교육이 개인적 목적에서의 발전을 지향하는 이유도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라 할 수 있다. 우리는 개인인 동시에 사회의 일원이기에 인간으로서 이상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사회이상에 의하여 규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에서는 아직 이러한 목표와 가치관의 실재를 보기 어렵다. 사회적 목적, 특히 정치적 목적을 기반으로 한 교육은 비교적 충분히 공급되어 왔으나, 끊임없는 사회 변동 과정에서 개인적 목적에 기반한 인간존재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 교육이 부족하여 청소년 자살률 증가와 자아정체성의 약화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개인 간 관계로 인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교육현장이 사회의 변화 양상을 온전히 따라가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무·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체계적이고 풍부하게 이뤄지지 않아 왔고, 이는 경기 부진과 산업사회의 변화에 따른 청년실업률 증가와 진로 경로의 고착화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했다. 급격한 사회변화를 따라가지 못해 학교교육이 피폐해지자 이의 영향이 곧 교육의 수요층에서부터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현대 사회의 한국 교육이 충분히 반영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상황의 지속은 장기적으로 사회적인 침체를 유발한다.
그렇기에 근·현대의 교육은 개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반영적 교육체제를 통해 사회 변동의 흐름을 따라가면서도 인간성 계발과 동시에 사회적 능력 증진이 가능한 교육으로의 변화를 교육의 목적으로 두고 이의 실현을 지향한다. 교육의 역할이 비단 지식의 학습 또는 개인의 인격 계발, 혹은 사회적 수요 충족에만 국한되었을 때에는 결과적으로 심각한 사회 불균형과 여러 심리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근대에 들어 개인의 요구를 억압하기보다는 그대로 실현시키며 지도·육성하는 것이 오히려 사회발전을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구체적 교육목적관이 성립됨에 따라 교육의 상은 상기한 목적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자율적 학습 수행과 교육적 선택의 자유를 통한 학습권이 보장되는 사회, 즉 주체적 학습사회 구축을 목표로 설정되었다.
2021. 1. 17.
Ted
- 참고 문헌
1. 교육쟁점으로 풀어쓴 교육학개론. (2020) 황규호 외 9인.
2. 교육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2011) 노영희, 홍현진.
3.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2020) 정일환, 이일용, 김혜숙.
4. 교육의 목적과 우리나라 현실. 2017. 황영남. (에듀인뉴스 칼럼)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평가와 교육 (0) | 2022.04.06 |
---|---|
(3) 교육과 심리발달 (0) | 2021.08.13 |
(2) 학교교육의 의의와 그 구성 (0) | 2021.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