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재대학교 시리즈 / TAEJAE University Series | |
1. 학교 소개 | 현재 보고 계십니다. |
2. 입학전형 | < 링크 클릭 > |
3. 기본 스펙 및 자기소개서 (1차) |
[1 (2024)] < 링크 클릭 > [2 (2025)] < 링크 클릭 > |
4. 생활기록부 (1차) | TBD |
5. 면접 및 토론 (2차) | TBD |
○ 중요 공지 본 게시글의 모든 내용은 「저작권법」 제4조의 어문저작물에 해당하며, 동법 제10조에 따라 작성 시점부터 저작권이 인정됩니다. 아래의 내용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동법 제136조부터 제142조까지의 각 조항에 따라 징역형 또는 벌금형, 과태료, 또는 전술한 형태의 것이 병과된 처분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1. 작성자 또는 작성자의 위임을 받은 본 블로그 운영자의 명시적인 허가 없이 무단 전재, 발췌, 출판, 공중송신, 시사보도에의 활용 및 AI 학습에의 활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2. 비영리적 범위에서 인용이 필요한 경우 오직 본 게시글의 링크와 제목을 최상단 또는 최전단에 고지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3. 특히 사교육 제공자의 무단 활용 시 예외 없이 고소·몰수 청구 등을 통하여 민사상의 법적 책임을 물을 것임을 고지합니다. 이는 비영리적 용도를 표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합니다. 저작자와의 연락이 필요한 경우 본 게시글의 댓글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목차 ¶ 1. 개요 ¶ 2. 철학 ¶ 3. 교육과정 3-1. 특기사항 3-2. 학부 및 전공 ¶ 4. 이사진 및 교수진 4-1. 태재학원 이사회 구성 4-2. 태재대학교 교수진 ¶ 5. 등록금 및 장학제도 5-1. 등록금 6-1. 장학제도 ¶ 6. 대학평가 ¶ 7. 평설 * 입학전형 관련 내용은 최상단 표 참고 |
1. 개요
태재대학교는 학교법인 태재학원에서 대한민국의 고등교육 혁신을 목표로 2023년 9월 1일 설립한 4년제 사립대학이다. 한샘 창업주 조창걸 명예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은퇴하며 출연한 사재 3,000억 원을 바탕으로 운영되며,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에 본부를, 일본 도쿄·미국 뉴욕·홍콩·러시아 모스크바에 레지덴셜 캠퍼스*를 두고 있다. 태재대학교는 기존의 전통적이고 일방적인 대학교육 시스템 속에서 급변하는 세계를 이끌 인재 배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진 구 여시재(현 태재미래전략연구원) 성원들의 기획 하에 개교하였고, 2025년 현재 개교 3년차를 맞았다.
학교 이름인 ‘태재(泰齋)’는 유교 경전인 「주역」에서 가져온 말로 ‘크고 넓은 집’을 의미하며, 이는 인류 공영과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큰 비전을 상징한다. 태재대학교는 한국형 혁신대학으로서 세계적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며, 동서양의 학문적 전통과 현대적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고등교육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것을 포부로 삼았다. 현 총장이자 초대 총장은 행정학자인 염재호 교수(前 고려대학교 총장/고등교육재단 이사장)이며, 재학생은 2025년 9월 입학 예정인 3기 입학생까지 약 100여 명으로 추정되어 전국에서 가장 학생 수가 적은 대학교이다.**
현재 법적인 형태는 원격대학, 구체적으로는 사이버대학으로, 4년제 정규 고등교육과정을 제공하는 종합대학이다. 이는 사이버 수업과 국외 순환 교육과정이 주가 되는 태재대학교 측의 교육관과 대면 강의식 수업을 상정하고 제정된 기존의 법령·교육부 지침 등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설립을 추진한 결과로, 차후 법인 차원의 법령·지침 개정 유도를 통해 통상적인 형태의 대학으로 형태를 변환할 것으로 보인다.
* 학생들이 기숙하며 시민 프로젝트(Civic Project) 수행의 거점으로 삼는 곳
** 학생 수가 적은 이유는 입학전형에 관한 게시글(▷ 클릭)에서 서술해두었다.
2. 철학
태재대학교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표어는 'The Next Answer'(다음의 정답)이다. 이 표어에 관해 태재대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 It’s time for an innovative educational platform, where tomorrow’s leaders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 the skills we need to bring about global harmony and a stronger digital society. That time is now, here at Taejae University.
내일의 지도자들이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 ─ 우리가 국제적 협력과 더욱 강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 ─ 을 개발하는 혁신적인 교육 플랫폼이 필요한 때입니다. 그때는 지금, 이곳 태재대에 있습니다.
상기한 표어 하에 태재대학교는 스스로의 비전을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자기주도적, 미래지향적 글로벌 인재 육성'으로 설정하였고, 비전 하에 '인류의 조화와 강력한 디지털 사회 건설을 위해 일하는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는 혁신적 교육 플랫폼 건설'을 사명으로 삼았다. 또 이러한 가치를 기반으로 3개의 구체적인 리더십 목표를 설정해 교육과정의 기반으로 삼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태재대는 영문 소개 자료에서 자신들이 지향하는 배출자의 상을 '지도자'(Leader)라 하고 있으나, 국문 소개 자료에서는 광의의 개념인 '인재'(Talented)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자료에서는 지도자와 인재를 문맥에 따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한다.
1. 세계적 인재(Global Leaders): 학생들이 국경과 문화, 동-서양을 초월해 세계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국제적 지도자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2. 미래의 인재(Future Leaders): 급변하는 기술과 환경 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강조한다.
3. 혁신적 인재(Innovative Leaders) : 인문학, 자연과학, 데이터 과학 등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다각도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3. 교육과정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수립된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모습은 아래 표와 같다.
자아 & 리더십 프로그램 |
학 생 성 공 |
▶ | 비판적 사고 |
창의적 사고 |
자기주도적 학습 |
◀ | 세 계 적 연 대 |
레지덴셜 사회 프로그램 |
웰니스 프로그램 |
레지덴셜 캠퍼스 프로그램 |
|||||||
사회적 가치 프로그램 |
다양성과 공감 |
소통과 협업 |
국제적 화합과 지속가능성 |
학습여행 | ||||
진로직업 계발 프로그램 |
시민 프로젝트 | |||||||
▲ 액티브 러닝 |
||||||||
각 학부 교육과정 (혁신기초, 인문사회, 자연과학, 데이터과학과 인공지능, 비즈니스혁신) |
3-1. 특기사항
특기할 점은 표 우단 '국제적 연대'에 속한 프로그램들이다. (표 좌단의 프로그램들은 타 종합대학에서 제공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태재대학교는 국제적 인재 육성이라는 철학을 반영하여 글로벌 로테이션 내지 인게이지먼트Global Rotation/Engagement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이는 각 학기별로 세계 주요 국가에서 학생들이 거주하며 배움을 얻게 하는 것이다. 즉 본부는 한국에 있지만 학생들은 세계 각 도시를 일정 기간마다 옮겨다니며 강의 수강, 토론, 학습여행, 하술할 시민 프로젝트 참여 등을 통해 교육과정을 이수한다. 글 작성 시점 현재(`25. 9. 3기 입학생 기준) 로테이션은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
예비과정 | 1학년 1학기 | 1학년 2학기 | 2학년 1학기 | 2학년 2학기 | 3학년 1학기 | 3학년 2학기 | 4학년 1학기 | 4학년 2학기 |
전면 온라인 | 대한민국 서울 | 대한민국 서울 | 미국 뉴욕 | 미국 뉴욕 | 중국 홍콩 | 중국 홍콩 | 러시아 모스크바 | 일본 도쿄 |
한편 (1기 입학생 기준) 서울에 거주하는 1학년 1~2학기 중 10일 내외의 미국 실리콘밸리 투어가 진행되었으며, 3~4학년 중 15일 내외의 유럽문명사 그랜드 투어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방학 중 학생 공모를 통해 대학 탐방 프로그램(University Innovation Fellowship)을 진행하여 세계 각지의 대학으로 학생을 파견한다.
전교생은 예외 없이 기숙형 캠퍼스에 거주하며 상시 토론과 프로젝트형 협업을 진행한다. 기숙형 캠퍼스 내에서 각종 일반 행사,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체육활동 등의 대부분이 이뤄지며, 외부에 공개하는 특별 행사의 경우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본부에서 진행되곤 한다. 개교 직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기숙형 캠퍼스는 서울 모처의 호텔을 임대하여 운영되고 있고, 2025년 4월경 1기 입학생의 출국과 함께 도쿄에 새로운 기숙형 캠퍼스가 운영될 예정이다. 서울 기숙형 캠퍼스의 사진은 아래에 실어두었다.
기숙형 캠퍼스 내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활동은 캠퍼스가 위치한 도시(도쿄·뉴욕·홍콩·모스크바)의 문제를 파악하고 학문적 이론과 결합하여 해결책을 발굴하는 '시민 프로젝트Civic Project'다. 프로젝트는 학기 단위(15주)로 진행되며, 정책실험의 과정과 유사하게 계획-실행-평가의 3단계로 구성되어있다. 국제사회의 지도자를 기르겠다는 대학의 포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시민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클릭)
(▽ 기숙형 캠퍼스의 사진)
![]() |
![]() |
![]() |
국가를 넘나드는 다각적인 공간 운영에 부응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전 과목 강의는 사이버상에서 진행된다. 학생들이 교실의 물리적 특성을 뛰어넘어 학습에 참여하고, 특히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는 과정에서도 지장 없이 교과목 이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첨단 디지털 기술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는 명목 하에서다. 사이버수업 플랫폼은 Engageli를 이용한다.
한편 표 하단에서 볼 수 있듯이 태재대는 교육과정에서 액티브 러닝Active Learning*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B. Bloom 등 고명한 교육학자들에 의해 이전부터 주창되었던 개념으로 간략히 말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학습'이다. 태재대는 ' 미리 정해진 문제와 해법을 암기하는 기존의 방식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습득한 실무 지식을 적용해 정해지지 않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스스로 찾아낼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아래와 같은 모델의 액티브 러닝을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
* 아직 국내에 Active Learning에 대한 통일된 번역어는 없다. '액티브 러닝', '능동학습' 내지 '능동적 학습' 등이 쓰인다.
수업 전: Input (입력하기) |
수업 중: Retrieve (되찾기) |
수업 후: Internalization (내면화하기) |
읽기 자료/동영상/과제/사전 조사 → 사전 수업 자료를 스스로 학습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준비한다. |
고안하기, 문제 해결, 작성하기, 역할극, 종합하기를 위한 상호 활동 → 사전 학습한 지식을 응용한 토론, 질문, 창의적 활동을 통해 고차원적 사고를 장려하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다. |
사후 학습자료 읽기/학습 결과 확인/반영 →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고 내재화한다. → 실무 지식 및 역량 습득 |
◁ ◁ ◁ ◁ ◁ ◁ ◁ ◁ ◁ ◁ ◁ ◁ ◁ ◁ ◁ ◁ ◁ ◁ ◁ ◁ ◁ ◁ ◁ ◁ ◁ 피드백 Feedback ◁ ◁ ◁ |
3-2. 학부 및 전공
태재대학교는 종합대학으로서 5개의 학부 과정을 운영하며, 현재까지 대학원은 없으나 차후 설치 및 운영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5. 3. 2. AI융합대학원장 임용)
입학생 전원은 혁신기초학부에 소속되어 1학년을 보낸 후 2학년 1학기에 심화된 지식을 계발할 학부로 이동, 전공을 선택하여 이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각 학부에 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해당 학부/전공에서 운영하는 과목
¶ 혁신기초학부: 모든 학생이 입학 후 첫 해에 이수해야 하는 기초 교육과정으로, 비판적 사고, 데이터 분석,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태재대학교가 지향하는 가치에 관해 학습하고 이에 관해 토론하며 태재대에서의 학업을 위한 기본적인 사고관을 형성한다.
- 하위 전공 없음
* 비판적·논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다양성·공감·세계시민의식, 동기부여와 자기주도학습, 데이터 분석과 스토리텔링, 판단과 의사결정, 인간 소통, 리더십과 협업, 사회 시스템 조정
¶ 인문사회학부: 인간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통찰력과 감성 지능, 그리고 그 활용을 위한 첨단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에 집중된 학부다. 철학, 역사, 정치학 등 인간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다룬다.
* 인간 존재에 대한 관점, 사회·정치·경제에 대한 관점, 세계사 I, 세계사 II, 인문학 특강, 사회과학 특강
- 문화인류학 전공 Humanities and Cultural Studies (HCS)
* 세계적 내러티브, 창의적 스토리텔링 및 내러티브 디자인, 디지털 인문학 이론과 실습
- 사회 혁신과 거버넌스 전공 Social Innovation and Governance (SIG)
* 국내 문제와 사회 변화, 글로벌 과제와 거버넌스, 국내 및 국제 정치, 정량적 사회·경제 분석
- 정치 · 경제 · 철학 전공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PPE)
* 미시경제학 및 거시경제학 분석, 국내 및 국제 정치, 정량적 사회·경제 분석
¶ 자연과학부: 과학 원리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교육과정 내에서 주로 탐구하는 개별 영역으로는 물리, 생물, 화학 등 고전적인 것들부터 넷제로 디자인, 기후공학 등 현대적인 것들까지 다양하다.
* 현대 사회를 위한 물리학, 생명과학, 과학을 위한 수학, 화학원리
- 물리·에너지 전공 Physics and Energy (PE)
* 에너지 전환과 속도, 미래적 대안을 위한 전기학·광학, 양자역학과 넷제로 디자인
- 생명시스템 전공 Life System(LS)
* 생명의 유전과 다양성, 생명 시스템 속 분자 세계, 생명공학의 경계
- 지구과학 전공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PPE)
* 행성계 간 연결, 지구 생태계, 환경 문제에 대한 전략
¶ 데이터과학과 인공지능학부: 빅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 첨단 기술 분야의 원리를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 AI와 데이터 기반 서비스 디자인, 전산적 사고와 데이터 리터러시, 실험 설계와 통계,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및 관리
- 인공지능 전공 Artificial Intelligence (AI)
* 머신러닝과 딥러닝, 컴퓨터 비전과 이미지 처리, 자연어 처리, 생활세계에서의 AI: 사회 및 비즈니스에서의 활용 사례
- 데이터과학 전공 Data Science (DS)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예측 모델링과 분석, 효율적 데이터 처리와 컴퓨팅
- 계산수학 전공 Computational Mathematics (CM)
* 컴퓨터 대수학과 기호계산, 계산수학과 수학적 모델링, 최적화 및 운영 연구
¶ 비즈니스혁신학부 : 경영 및 경제 원리에 기반한 창업 및 기업 혁신 관련 교육을 제공한다.
* 비즈니스 결정을 위한 경제학, 회계 원리, 재무학 입문, 마케팅 원리, 비즈니스 분석, 전략 관리, 조직행동론, 투자론, 가치평가 입문, 가치평가를 위한 재무제표 분석, 관리회계, 회계정보시스템, 소비자행동론, 디지털 마케팅, 마케팅 전략, 기업 전략, 경쟁 전략, 조직행동과 인적자원관리, 소통과 대인관계 기술, 행동경제학
- 벤쳐 및 스타트업 전공 Venture & Start-Ups (VS)
* 기업가정신, 비즈니스 계획·스타트업 전략, 스타트업·벤쳐금융 평가
- 금융시장 전공
Financial Markets (FM)
* 금융시장과 제도, 기업재무, 금융공학
- 국제 비즈니스 전략 전공 Global Business Strategy (GBS)
* 국제 비즈니스 전략, 리더십과 팀 관리, 브랜드 관리·전략
4. 이사진 및 교수진
4-1. 태재학원 이사회 구성
(2025. 03. 31. 기준)
직위 | 성명 | 현직, 주요 경력 |
이사장 | 김도연 |
|
이사 | 김명희 |
|
이사 | 김정호 |
|
이사 | 김종훈 |
|
이사 | 노정혜 |
|
이사 | 염재호 |
|
이사 | 조남준 |
|
이사 | 최해천 |
|
이사 | 허준 |
|
감사 | 이승훈 |
|
감사 | 임창훈 |
|
4-2. 태재대학교 교수진
아래는 2025. 03. 31. 현재 본인이 확인할 수 있는 태재대학교 교수진의 정보다. 강사는 분량상 제외하였으며, 프로필은 태재대학교 홈페이지 및 공시 자료에서 확인하였다.
* [혁] 혁신기초학부, [인] 인문사회학부, [자] 자연과학부, [데] 데이터과학 및 인공지능학부, [비] 비즈니스혁신학부
** [*] 표시: 학부장
성명 | 주전공 | 최종 학위 | 주요 경력 |
염재호 [총장] | 행정학 | 스탠포드 대학교 Ph.D. | 고려대학교 총장 고려대학교 교수·부총장 한국정책학회장 |
전명식 [부총장] | 통계학 | UC 버클리 Ph.D. | 고려대학교 교수·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정경대학장·대학원장 한국은행 통계자문위원장 |
[*혁] Elizabeth P. Callaghan | 영문학, 젠더이론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Ph.D. | Active Learning Sciences, Inc. 부회장 파운드리 칼리지 학장 미네르바 대학교 조교수 |
[혁] [인] David Hazard | 중국어 및 중국 문화 | 스탠포드 대학교 Ph.D. | |
[혁] Derrick M. Nault | 역사학 | 퀸즈 대학교 Ph.D. | 알고마 대학교 겸임교수 도쿄대학 연구교수 소피아 대학교 촉탁교수 |
[혁] [인] 이희은 | 비교문학 | 워싱턴 대학교 Ph.D. | 워싱턴 대학교 강사 시애틀 대학교 겸임교수 노스웨스트 대학교 겸임교수 |
[혁] Steve Justice | 창의적 글쓰기 | 노팅엄 대학교 Ph.D. | 노팅엄 대학교 학술영어 강사 서경대학교 조교수 가톨릭대학교 방문교수 |
[혁] Steven Shirley | 국제학 |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Ph.D. | 메릴랜드 대학교 조교수 계명대학교 조교수 탐마삿 대학교 조교수 |
[혁] 강민수 | 교육정책 | 고려대학교 Ph.D. | 고려대학교 강사 |
[인] 이정석 | 공공·국제관계 | 프린스턴 대학교 Ph.D. | 제임스 매디슨 대학교 방문학자 존스 홉킨스 대학교 방문연구원 텍사스 A&M 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자] (석좌) 양정미 | 화학 | 브라운 대학교 Ph.D. | 연세대학교 경영교육혁신센터 부소장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
[자] 이미정 | 물리학 | 케임브리지 대학교 Ph.D. | 국제전기기술위원회 TC124 대표 케임브리지 대학교 방문교수 국민대학교 조교수 |
[*데] 곽지영 | 산업공학(인간-컴퓨터 간 상호작용) | 포항공과대학교 Ph.D.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융합교수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선임연구원 삼성전자 상무 |
[데] 이주행 | 컴퓨터과학 및 공학 | 포항공과대학교 Ph.D. | Pebblous Inc. 공동 CEO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석연구원 |
[*비] 하영원 | 경영학 | 시카고 대학교 Ph.D. | 뉴욕주립대학교 석좌교수 서강대학교 교수·명예교수 한국마케팅학회장 |
(석좌) 성영신 [학생성공원장] |
소비자 및 광고심리 | 함부르크 대학교 Ph.D. | 한국심리학회장 한국소비자학회장 고려대학교 교수 |
맹성현 [AI융합대학원장, 부총장] |
전산학 |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 Ph.D.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교수·명예교수 KAIST-MS 협력연구센터장 |
[인] Tariq Mir | 문명교류 | SOAS 런던 대학교 Ph.D. | SOAS 런던 대학교 선임펠로우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교 객원강사 |
[자] Lisa Warden | 미생물학, 생화학 | 위트레흐트 대학교 Ph.D. | 로언 대학교 강사 라이더 대학교 강사 카네기 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데] 박성준 | 인간-기계 상호작용 | 조지아 공과대학 Ph.D. | |
[비] 김영상 | 기업재무 |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Ph.D. | 노던 켄터키 대학교 교수 숭실대학교 조교수 퀴니피악 대학교 조교수 |
5. 등록금 및 장학제도
5-1. 등록금
1기 입학생(2023.9.) 기준, 공식 자료에 따르면 각 학기 및 총 등록금은 아래와 같다.
종류 | 설명 | 액수 | 소득분위 6~10분위 | |
학생 부담액 | 장학금 | |||
제1학기 (2023학년도 가을 / 서울)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
4,500,000 4,000,000 |
4,500,000 2,400,000 |
0 1,600,000 |
제2학기 (2024학년도 봄 / 서울)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학습여행비 |
4,500,000 4,700,000 1,100,000 |
4,500,000 2,400,000 1,100,000 |
0 2,300,000 0 |
여름방학 | 실리콘밸리 여행비 | 7,000,000 | 0 | 7,000,000 |
1학년 소계 | 25,800,000 | 14,900,000 | 10,900,000 | |
제3학기 (2024학년도 가을 / 서울)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시민 프로젝트 활동비 |
4,500,000 5,600,000 300,000 |
4,500,000 2,400,000 300,000 |
0 3,200,000 0 |
제4학기 (2025학년도 봄 / 도쿄)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시민 프로젝트 활동비 |
4,500,000 5,800,000 1,800,000 |
4,500,000 4,000,000 1,800,000 |
0 1,800,000 0 |
2학년 소계 | 22,500,000 | 17,500,000 | 5,000,000 | |
제5학기 (2025학년도 가을 / 뉴욕)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시민 프로젝트 활동비 |
4,500,000 13,600,000 2,800,000 |
4,500,000 4,000,000 2,800,000 |
0 9,600,000 0 |
제6학기 (2026학년도 봄 / 홍콩)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시민 프로젝트 활동비 |
4,500,000 8,300,000 1,700,000 |
4,500,000 4,000,000 1,700,000 |
0 4,300,000 0 |
3학년 소계 | 35,400,000 | 21,500,000 | 13,900,000 | |
제7학기 (2026학년도 가을 / 모스크바) |
수업료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시민 프로젝트 활동비 |
4,500,000 7,800,000 2,700,000 |
4,500,000 4,000,000 2,700,000 |
0 3,800,000 0 |
겨울방학 | 유럽 그랜드투어 여행비 | 10,000,000 | 0 | 10,000,000 |
제8학기 (2027학년도 봄 / 서울) |
수업료 | 4,500,000 | 4,500,000 | 0 |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 | 6,800,000 | 2,400,000 | 4,400,000 | |
4학년 소계 | 36,300,000 | 18,100,000 | 18,200,000 | |
총계 | 120,000,000 | 72,000,000 | 48,000,000 |
* 소득분위 5분위 이하 학생은 수업료 및 기숙사비 전액 지원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다시피 소득분위 6분위 이상 학생의 경우 4년 간 총 1억2천만 원, 학교 측이 지원하는 금액을 제하더라도 학생이 7천200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 의대 등을 제치고 전국 대학 등록금 중 압도적인 1위*다. 기숙형 캠퍼스 이용료를 제한 수업료 실 납부액 총합만 보더라도 3천600만 원으로 전국 7위권이다. 이에 소득분위가 높은 가정의 학생에게는 상당한 재정적 여유가 요구된다.
* 2024년 4월 대학알리미 공시 기준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의예과 및 의학과)가 연 10,414,000원으로 일반대학 중 최상위
5-2. 장학금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장학금은 아래와 같다.
2025년까지 입학한 모든 외국인 학생은 학비, 기숙사비, 글로벌 참여 프로그램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학생들에게도 다양한 장학금을 제공합니다. 이 장학금은 한국장학재단(Korea Student Aid Foundation)이 정의한 재정 지원 기준에 따라 일부 지급됩니다. 일정 학점을 이수하고 일정 성적을 달성한 5분위 이하의 국내 학생은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6분위 이상의 학생도 학생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장학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광범위한 근로 장학금도 제공합니다. |
즉 작성일 현재 기준 외국인 학생에 대해서는 소득과 관계없이 학비, 기숙사비, 글로벌 참여 프로그램 참가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내국인 학생에게 기본적으로 학교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지원하는 장학금은 없다. 내국인에게는 한국장학재단에서 산정한 소득분위에 따라 학교가 정한 액수의 장학금이 차등적으로 지급된다.
단 특기할 점은 소득분위 1~5분위 가정 학생들에 대해 수업료와 기숙형 캠퍼스 비용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원한다는 것이다. 우수한 학생을 가정의 재정적 상황으로 인해 유치하지 못하는 상황을 차단하고자 대범한 지원책을 마련한 것인데, 학교법인의 재정적 여유로움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한편
소득분위 6분위 이상 가정의 학생들도 별도 신청과 심사를 거쳐 장학금 제공이 가능하다고 나와있는데,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확인된 사례는 없다. 한편 입학전형 성적 최우수자에 대해 학비 일부를 지원하는 입학성적우수 장학금이 존재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알려진 바 없다.
근로장학의 경우 여타 대학과 비슷하게 신청자에 한해 학교 본부, 홍보관(서울 혜화동 소재, 현재는 철거된 것으로 보임) 등에서 할 수 있으며, 시급은 1만2천 원에서 1만5천 원 수준이다.
특기할 점을 하나 더 꼽자면 학부 졸업 이후에도 장학제도가 마련되어 있음을 들 수 있다. 졸업 후 일정 기간 내에 국제기구·비정부단체 등에 취업·참여하게 되거나, 스타트업 기업을 창업하거나, 최우수 대학원('최우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 진학 시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한다고 명시했다. 다만 이 역시 자세한 내용은 알려진 바가 없다.
6. 대학평가
신생 소규모 대학의 특성상 국내·외의 저명한 대학평가(ARWU, QS, Nature Index, THE, 중앙일보 등)에는 등재되어있지 않다.
다만 개교 9개월 차인 2024년 9월, 가장 실용적·개방적인 대학을 선정함을 기치로 삼은 WURI(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Innovation; 세계혁신대학순위) 2024의 각 부문 순위에서 '리더십' 부문 72위에 선정되었다. WURI 2024의 13개 부문은 아래와 같다.
학생 지원과 참여, 학생 이동성과 개방성, 산업적 응용, 기업가 정신(* 청운대학교 2위), 위기 관리, 사회적 책임, 생성형 AI 응용, 세계적 회복탄력성에 대한 지원(* 한국외대 1위), 리더십, 재정 지원, 인프라스트럭쳐/기술, 심볼/프로모션, 문화/가치(* 한양사이버대 6위)
전체 순위 300위 이내에는 진입하지 못했는데, 해당 연도 전체 순위 10위는 아래와 같다. 대학 측에서는 차후 전체 순위 진입을 잠정적 목표로 삼아 아래 대학들을 대상으로 여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 미네르바 대학교, (2)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3)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4)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5) 스탠퍼드 대학교, (6) 에콜42, (7) 알토 대학교, (8) 한자 대학교, (9) 버클리 대학교, (10)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칼텍)
7. 평설
긍정적인 미래
독창적인 Global Rotation Program은 태재대학교만의 강점으로 자리 잡아 국제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높다.
설립 초기부터 막대한 재정 지원과 탄탄한 비전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기대된다.
AI와 데이터 과학 등 첨단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
부정적인 미래
신생 대학으로서 초기 단계에서 겪게 될 브랜드 인지도 부족 문제가 도전 과제가 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재정 확보와 우수 교수진 유치가 장기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Global Rotation Program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지 못하면 차별성이 약화될 위험이 있다.
'자료 및 통계 > 일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태재대학교 합격 자기소개서 2 (2025 태재미래인재전형 1차) (0) | 2025.03.19 |
---|---|
태재대학교 합격 자기소개서 1 (2024 태재미래인재전형/자기혁신인재전형 1차 Self-Development Plan) (0) | 2025.03.19 |
아이슬란드 청소년법 (Youth Act of Iceland) 원문 및 번역문 (0) | 2024.05.08 |
국외 학생인권조례 사례 - 미국 하와이주 학생 행동 규정 (Hawaii Student Code of Conduct, Policy 101-1) (0) | 2024.05.07 |
국외 학생인권조례 사례 - 미국 하와이주 학생인권조례 원문 및 번역문 (권리 및 책임에 관한 학생 장전) (0) | 2024.05.07 |
댓글